생애설계

[오늘부터 인생2막] 재취업을 준비하는 마음 근력, 커리어 회복탄력성

  

   이런 취업 고민을 가지고 계신가요?

 

다니던 직장도 잘렸는데 나를 다시 받아줄 회사가 있을까요?


다시 이력서 쓰기가 겁이 납니다.


‘월요병’ 대신 ‘퇴직후유증’이 생겼어요.  

 

 

 

 

‘퇴직 후유증‘을 아시나요? 회사는 퇴직했지만 가장이란 역할은 여전히 남아 있어 괴롭습니다. 성취감도 없고 지위감도 사라진 50-64세 남녀는 무기력해집니다. 퇴직 후유증을 없애고 다시 용기 내서 취업 지원을 할 수 있게 하는 힘, ‘커리어 회복탄력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

커리어 회복탄력성이 필요한 이유


커리어 회복탄력성이란 재취업을 준비하는 ‘마음 근력’으로, 회복탄력성의 원리를 취업 준비과정에 접목한 것입니다. 커리어 회복탄력성이 없으면 눈앞에 있는 기회조차도 잡을 수가 없어요. 왜냐하면 손을 뻗어 기회를 잡을 마음 근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얻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돈을 내고 살 필요도 없고, 그냥 마음만 먹으면 됩니다. 그런데 막상 준비되지 않은 실직을 당하면 다시 취업시장에 나오기가 두려워집니다. 생계와 직결되는 실직의 부담은 생각보다 훨씬 버겁죠. 압박감은 커지는데 맘처럼 다시 이력서를 쓸 용기가 나지 않는 거예요. 

 

월요병이 없어져서 행복할 줄 알았는데 예상치 못했던 퇴직후유증을 앓게 되는 겁니다. 퇴직후유증을 이겨내고 다시 재취업에 도전하려는 마음 근력을 키우려면 노력이 필요합니다. 커리어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그만큼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 짧아집니다. 취업 문제를 해결하니 당연히 퇴직후유증도 사라지겠죠. 

 

 

 

-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방법

 

 

 

1) 커리어 회복탄력성의 기본,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의 저자 김주환 교수에 의하면, 회복탄력성이란 역경을 극복하는 힘이라고 합니다. 이런 힘은 소통 능력과 진정한 행복감에서 옵니다. 어떻게 하면 소통 능력이 길러지고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요? 

 

평소 긍정성이 강한 사람은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인생의 역경을 얼마든지 이겨낼 잠재적인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내 안에서 회복할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현재 나의 회복탄력성은 몇점?

김주환 교수님은 한국인 정서에 맞게 ‘KRQ 53 진단’을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통해 현재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세 가지 점수의 총합이 회복탄력성 지수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점수는 195점입니다. 180점 이하라면, 회복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3) 회복탄력성도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을까?

회복탄력성 진단의 목적은 자기조절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긍정성의 3가지 영역과 이에 따른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소통능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의 9가지 하위항목을 파악해서 부족한 항목을 보완하기 위해서입니다. 부족한 요소들은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 두 가지를 길러주는 것은 바로 긍정적 정서입니다. 긍정성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긍정성 강화를 위한 훈련은 ‘명시적 지식’을 ‘암묵적 지식’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골퍼는 스윙할 때마다 배운 대로 치기 위해서 여러 번 머릿속으로 스윙 자세를 떠올려야 합니다. 반면 이런 명시적 지식을 수도 없이 반복한 프로 골퍼는 스윙할 때 더 이상 머뭇거리지 않고 목표를 향해 공을 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명시적 지식이 암묵적 지식으로 바뀌어 자연스럽게 체득된 행동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커리어 회복탄력성도 마찬가지입니다. 재취업 준비과정의 어려움을 긍정성으로 반복하다 보면 마음 근력이 단단해질 수 있습니다.

 

 

 

 

4)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훈련

회복탄력성은 모든 삶의 영역에서 발휘됩니다. 이런 회복탄력성이 재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 적용된다면 당연히 그 안에서 감사함과 행복감을 느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먼저 KRO 53 Test를 해 보세요. 회복탄력성 책(회복탄력성, 김주환, 위즈덤하우스 등)을 사셔도 좋고요. 검색도 가능합니다. 

 

​ 재취업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을 갖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가볍게 명상하는 시간도 가져 보세요. 

 

​ 자신의 대표 강점을 발견하여 성취했던 순간을 떠올려 자신감을 높이는 데 활용해보세요

 

​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대표 강점의 발견과 명상입니다. 이와 더불어 긍정적인 뇌로 만들기 위해서 마음의 좋은 습관, ‘감사하기’와 몸의 좋은 습관인 ‘운동하기’를 해보세요.

 

유호정 상상우리 에디터

미래에 유명한 패션디자이너가 되어 있을줄 알았던 3,40대를 지나, 현재는 인생 2, 3막을 준비하고 있는 중장년의 진로가이드, 전직지원컨설턴트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직을 하기위해 노력했던 전략적 접근방안과 현장에서 수없이 새로운 도전을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도 고객에게 맞는 현실적 대안을 찾고 있습니다. 중장년의 경험과 노하우로 사회에 기여하고, 목표하는 삶을 가꾸어 가도록 힘이되고 보탬이 되는 진정한 길잡이고자 노력합니다.  

워크위즈를 공유해보세요.

구독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뉴스레터가 오기 전에
웹사이트에서 콘텐츠를 읽어 보세요!

  • 에이풀
  • 링크임팩트
  • 미니인턴

구독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뉴스레터가 오기 전에
웹사이트에서 콘텐츠를 읽어 보세요!